cs(컴퓨터구조) 4

주소 지정 방식

명령어 형식 명령어는 CPU에 이해 실해될 때 제공해야 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연산코드 : 수행될 연산을 지정해준다(LOAD,ADD 등) 오퍼랜드 : 필요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의 주소를 나타낸다. 여러개의 오퍼랜드를 가질수 있다. 다음 명령어 주소 : 현재 명령어가 실행완료 후 다음 명령어의 위치를 나타낸다. 주소 지정 방식 주소지정 방식이란 주소 비트를 이용하여 오퍼랜드의 요효주소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오퍼랜드를 지정하고 더 큰 용량의 기억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 주소지정 방식이 제안되었다. 1.직접 주소지정 방식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오퍼랜드 필드 내용이 데잍의 유효주소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 2.간접 주소지정 방식 직접 주소지정 팡식의 문제점인 기억 장치 범위가 ..

cs(컴퓨터구조) 2023.06.03

CPU 성능 향상 기법

CPU 성능 향상 기법에는 클럭을 이용한 향상기법,멀티 코어 멀티 쓰레드를 이요한 향상기법, 병렬처리를 이용한 향상 기법등이 있다. 1.클럭 컴퓨터는 클럭 신호에 맞춰 작업을 수행한다. cpu는 명령어 싸이클이라는 흐름에 맞춰 명령어를 실행한다. 클럭 신호가 빠르게 되면 CPU의 싸이클을 빠르게 반복할 수 있어 성능을 올릴 수 있다. overClocking : 클럭 속도를 강제로 끌어올리는 기법(너무 올릴시 발열의 문제가 있다.) 2.1 코어, 멀티 코어 코어 : CPU 칩 내부에 register와 cache를 갖고 있는 core 만 따로 회로를 구성한 구조 멀티 코어 : 코어를 여러개 포함하고 있는 CPU CPU내의 명령어를 처리하는 코어가 여러개 있어 성능향상에 도움이 된다. 연산 속도가 코어 수에 ..

cs(컴퓨터구조) 2023.06.03

명령어 싸이클

CPU 동작 원리 cpu는 기억장치치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들을 실행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1.명령어 인출 : 기억장치로 부터 명령어를 읽어온다 2.명령어 해독 : 읽어온 명령어를 해독한다 3.데이터 인출 : 명령어 실행전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데이터를 읽어온다. 4.데이터 처리 : ALU를 이용한 데이터 산순,논리연산을 수행한다. 5.데이터 저장 : 수행한 결과를 저장한다. 레지스터 PC(Program Counter) : 다음 실행될 주소를 가지고 있는 레지스터 MAR(Memory Address Register) : 주소 버스로 이동하기 전에 PC에있는 주소를 임시 저장하는 레지스터 MBR(Memory Buffer Register) : 저장될 데이터 혹은 읽혀진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저..

cs(컴퓨터구조) 2023.06.03

1.컴퓨터 시스템 개요

프로그래밍 코드를 똑같이 따라 작성해도 코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험들을 다들 해봤을 것이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만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 컴퓨터 코드란 코드를 입력하면 결화를 내놓는 미지의 대상이다 하지만 컴퓨터 구조를 이해 한다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빠르게 찾을수 있을것이다. 컴퓨터의 기본 구조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 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고 제어하는 명령어의 집합 하드웽에 의존적이고 하드 웨어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편리한 이용환경을 제공해 준다. 하드웨어 컴퓨터를 구성하는 기계적 장치 메인 보드, cpu,주기억장치 모듈, 확장 보드,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 CPU 사람으로 따지면 뇌의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프로그램 실행과 데이터 처..

cs(컴퓨터구조) 2023.06.03